Linux 5

셸의 이해 (1) #Linux

셸이란? 셸은 커널과 사용자간의 대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함. 대충 이렇게 생긴것을 본적이 있을것이다. 이것이 셸이라고 하는 것이다. 앞서 작성된 게시물을 보면 GUI에 관해서 서술한적이있는데, GUI가 필수적이지 않은 리눅스에서 작업을 할때, 이 셸을 통해 작업을 하게 된다. 주요 셸과 특징 셸 특징 Bourne Shell 1977년 스티븐본이 개발한 유닉스 버전 7의 기본 셸. Bash Bourne Again Shell 이라는뜻 1989년 브라이언폭스가 GNU프로젝트를 위해 개발. 명령히스토리, 명령어 완성 기능, 히스토리 치환, 명령행 편집 등을 지원. C Shell 1978년 빌 조이에 의해 개발 C언어를 기반으로 개발. 히스토리 기능, 별명 기능, 작업 제어 등. (명령어 편집기능 X) tcsh ..

리눅스 2022.07.28

X윈도 / 데스크탑환경 / 윈도매니저의 이해 #Linux

각각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X윈도란? 리눅스에서 구동되는 GUI 데스크탑 환경? X윈도를 포함하여 통칭함. DOS창이 아닌 Window OS처럼 바탕화면이 있고 아이콘이 있는 것. 윈도매니저? X윈도 환경에서 표현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X윈도의 실행 실행방법으로는 etc/inittab에서 런레벨을 설정한다. 이전에 게시한 게시물처럼 런레벨을 0~6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런레벨3 : 네트워크 사용함 + 다중 사용자 모드 + 텍스트모드 런레벨5 : 네트워크 사용함 + 다중 사용자 모드 + X11(X윈도사용) id:5:initdefault: //X윈도 id:3:initdefault: //텍스트모드 로 설정가능 startx [option] 으로 X윈도를 실행 시킬 수 있다 명령의 예시로 $ startx..

리눅스 2022.07.25

리눅스 라이선스 설명 및 종류 #Linux

GPL : General Public License 1. 프로그램은 어떠한 목적으로든 사용가능. 법으로 제한하는 행위는 할 수 없다 2. 프로그램의 실행 복사본은 언제나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와 함께 판매하거나 소스코드를 무료로 배포해야한다 3.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 4. 변경된 코드 역시 반드시 공개배포 5. 변경된 코드 역시 GPL 라이선스 적용 LGPL : Library/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GPL 과 다른 점 -GPL이 적용된 라이브러리는 자유 소프트웨어를 만들때에만 사용해야하나, LGPL 은 자유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독점소프트웨어 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다만, LGPL 라이브러리의 소스코드를 수정했을 경우에는 2차적 파생물 저작물에 해당 -> ..

리눅스 2022.07.25

X윈도우 이해_#Linux

X윈도우와 비슷하다고 할수있는 Windows를 이야기해보자. Windows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기위해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한다. 우리가 보고있는 바탕화면 그리고 아이콘 등 모두 GUI라고 한다. 리눅스도 GUI프로그램이 있다. 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그냥 콘솔창에서 작업하면 되니.. - X윈도우는 리눅스와 독립적이면서 필수적이지않은 GUI 역사 DEC, IBM, MIT가 공동으로 시작한 아데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Bob Scheifler와 Jim Gettys가 1984년 최초 발표. 1986년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만듦 / X10.4 공개 1987년 X11 발표 1988년 X윈도를 표준 윈도 시스템으로 채택하기 시작. / X 컨소시엄 결성 -> X11R2 발표..

리눅스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