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는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 / 3계층 으로써 논리적인 주소체계이다.
MAC 과 IP 의 차이점
MAC은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를 뜻하고, IP는 그에 반대로 논리적인 주소를 뜻한다.
MAC는 LAN ( Local Area Network ) / 이더넷 같이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할 때 사용한다.
네트워크를 빠져나갈때 (라우터 이용) IP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IP형태
10진수로 표현시 : 0.0.0.0 ~ 255.255.255.255
2진수로 표현시 : 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 (총 32비트)
Class A : 8비트의 네트워크 부분과 24비트의 호스트 부분으로 나눔.
위의 사진 참고.
- 맨 앞이 '0'으로 시작한다 (2진수 기준)
- A Class의 범위는
10진수로 표현시 0.0.0.0 ~ 127.255.255.255 이다.
앞서 말했듯 맨앞 8비트는 네트워크 부분이므로 초록색으로 칠한 0 ~ 127이 네트워크 부분이 되겠다.
반대로 주황색으로 칠한 부분은 호스트 부분이다.
호스트의 범위는 나머지 24비트이므로 2^24
Class B : 16비트의 네트워크 부분과 16비트의 호스트 부분으로 나눔.
- 맨 앞이 '10'로 시작한다. (2진수 기준)
- B Class의 범위는
10진수로 표현시 128.0.0.0 ~ 191.255.255.255 이다.
맨앞부터 16비트는 네트워크 부분이므로 초록색으로 칠한 128.0 ~ 191.255 이 네트워크 부분.
나머지는 호스트부분.
Class C : 24비트의 네트워크 부분과 8비트의 호스트 부분으로 나눔.
- 맨 앞이 '110'으로 시작한다. (2진수 기준)
- C Class의 범위는
10진수로 표현시 192.0.0.0 ~ 223.255.255.255 이다.
맨 앞부터 24비트는 네트워크 부분 이므로 초록색으로 칠한 192.0.0 ~ 233.255.255 이 네트워크 부분.
나머지 8비트 부분이 호스트 부분이다.
Class D 와 Class E는 각각 멀티캐스트용,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예약된 IP이다.
종합해보면 클래스가 A에서C로 갈때마다 네트워크의 길이는 길어지며, 호스트의 길이는 짧아지는 반비례 형태이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계정관리 / 그룹 계정관리 관련 파일 #리눅스 (0) | 2022.08.10 |
---|---|
OSI 7계층에 대하여 #리눅스 (0) | 2022.08.02 |
셸의 이해 (1) #Linux (0) | 2022.07.28 |
X윈도 / 데스크탑환경 / 윈도매니저의 이해 #Linux (0) | 2022.07.25 |
리눅스 라이선스 설명 및 종류 #Linux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