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의 약자.
여러개의 하드디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곳에 중복해서 저장함.
운영체제에서는 논리적으로 하나의 저장소처럼 인식 but, 물리적으로는 여러개의 하드디스크.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
1) 스트라이핑
데이터를 중복이나 패리티 없이 디스크에 분산하여 기록함.
빠른 입출력 속도 제공.
패리티 코드가 없기 때문에 오류시 데이터 복구 불가능
하지만 요즘 하드디스크에서는 기본적으로 복구가능.
2) 미러링
두개의 디스크에 동일하게 기록.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나도 복구 가능.
각 드라이브를 동시에 읽기때문에 읽기 성능은 향상 되지만, 쓰기성능은 양쪽 디스크에 써야하기때문에 속도가 느려진다.
복구가능성은 높다. 하지만 디스크를 두배로 사용하기때문에 낭비가 50%이다.
- RAID 종류 -
RAID - 0 : 스트라이핑
RAID - 1 : 미러링
RAID - 2 : 스트라이핑 + Hamming Code (ECC - Error Check & Correction ) 오류정정 코드 있음.
RAID - 3 : 스트라이핑 + 패리티코드
RAID - 4 : 스트라이핑 + 패리티코드
RAID 2 ~ 4 는 읽기 단위 차이이다.
RAID - 5 : 스트라이핑을 사용하지않고 각각의 디스크에 패리티만 적용
RAID - 6 : RAID5와 마찬가지로 스트라이핑 사용하지않고 1차 패리티, 2차 패리티 적용.
5번은 위 그림처럼 스트라이핑 사용 하지않고, 1차 패리티 적용.
6번은 5번에서 2차 패리티 까지 적용해서 더욱 안정적.
RAID - 0 + 1 : 스트라이핑 후 미러링
RAID - 1 + 0 : 미러링 후 스트라이핑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라이선스 설명 및 종류 #Linux (0) | 2022.07.25 |
---|---|
X윈도우 이해_#Linux (0) | 2022.07.25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이해 (0) | 2022.07.15 |
Boot & Shutdown (0) | 2022.07.15 |
LVM의 개요 (0) | 2022.07.15 |